본문으로 바로가기

2021년 회고 및 미래 계획

category 📑 Project/회고록 2022. 1. 1. 17:53

Notion에서 더욱 깔끔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.

https://glass-lily-8dc.notion.site/2021-8be2f1577d7c49e1836550788cb09746

 

2021년 회고 및 미래 계획

1년을 회고해보니 회고와 동시에 미래에 대한 계획도 어렴풋이나마 생기게 되어 정리해본다.

glass-lily-8dc.notion.site

 

1년을 회고해보니 회고와 동시에 미래에 대한 계획도 어렴풋이나마 생기게 되어 정리해본다.

뒤돌아보니 회사에 근무한 6개월간 나름 치열하게 성장도했고 동시에 스스로에 대한 부족한 점도 알게되었지 않나 싶다. 가장 큰 건 관심 있는 분야가 생겼다는 것.

 

1. 첫 회사

2021년 6월 말에 BUSINESS CANVAS에 조인했다. 친구의 친구가 참여하고 있는 회사였는데 블포파 피칭데이에서도 등장하고 심지어 학교 수업 시간에도 언급되는 등 다양한 곳에서 언급이 되어 궁금증이 생겼다. 그래서 무작정 인턴 자리 없냐고 물어보고 없는 자리를 만들어 지원했었다. 지원 후에는 일반 정규직의 입사 절차인 코딩테스트 → 기술면접 → 팀핏 면접을 통해서 선발되었다.

 

생각해보면 당시의 마음가짐은 굉장히 가벼웠다. 첫 회사라기보다는 미래에 창업을 할 생각이 있어서 스타트업의 생리를 몸소 경험하고 배우고 싶어서 반쯤은 투자하는 기분으로 지원하였다. 그래서 제대로 된 이력서라기보다는 정리하고 있었던 개발 블로그와 github 주소를 첨부하였다. 자기 소개서는 우대 사항에 해당 되는 내역을 상세하게 적는 등 성의있게 적긴 했지만 분량은 A4 반장 정도로 비교적 간략하게 적어 보냈다.

 

당시에 보냈던 포트폴리오는 대략 아래처럼 생겼었다.

Portfolio

 

Portfolio

# Meme Site (초급) 더보기 - React.js + Redux + Express - Masony layout - Image Resizing + upload in AWS S3 - swipe to load를 위한 infinite scroll - jwt 인증 기반 로그인 - Clipboard API - BackTop #..

darrengwon.tistory.com

 

결론적으론 학기 중에 인턴으로 들어가서 일을하다가 정규직으로 전환되었다. 인턴 정도로 스쳐갈 회사라고 생각했는데 첫 회사가 되어버린 것이다. 물론 그 사이에 회사도 성장하여서 라운드가 높아졌다.

 

50억을 투자받고 시리즈 A 회사가 되었다.
비즈니스캔버스, 50억 투자유치..."글로벌 SaaS 기업 도약" - 머니투데이

 

초반에는...

  • 익숙하지 않았던 프로젝트 구조
    • 첫 회사이기도 했고 사이드 프로젝트 이상의 프로덕션 레벨의 코드를 처음 접해보아서 초반에는 힘든 편이었다. 무엇보다 내가 알고 있는 구조가 아니었다.
    • 현재 폴더링과 모델링을 포함해 FE의 전반적인 구조를 개선하고 있는 리팩토링 작업을 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, 내가 만약 그 때 더 노련했더라면 프론트 아키텍쳐 개선을 건의하고 주도할 수 있었을텐데란 생각이 든다. 이 건에 대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았다.
      • 신규 입사자가 들어온 시기는 기존에 발견하지 못했던 결함(그것이 개발이든, 문화이든)을 발견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라는 것
      • 내 경험과 실력이 부족하다는 것
    • 프론트엔드 구조 개선이 이루어지면 이를 회사 기술 블로그에 정리해서 되새김질해볼 예정이다.
  • 피어 코드 리뷰
    • 코드 리뷰 자체가 처음이었다. 그런데 merge protection 규칙이 최소 2명 이상의 리뷰를 받아야만 merge가 가능하게끔 설정이 되어 있었고, FE가 나를 포함해 3명밖에 없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내가 리뷰를 하지 않으면 merge가 되지 않았었다.
      •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그림 자체도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뷰를 해야만했고, 설사 approve를 하더라도 merge된 이후에 문제가 발생하면 리뷰자인 내가 책임을 물어야 할 것 같아서 부담스러웠다.
      • 게다가 내가 할당 받은 ticket 처리에도 시간이 부족했었는데 리뷰를 진행하다보니 context switching의 비용이 컸었다.
    • 결국 리뷰가 늦어져 개발 속도가 늦어지게 되었다.
      • 이 문제는 내가 성장하면서 일부 해소가 되었다.
      • 리뷰에 너무 큰 의미와 책임을 두게 되면 오히려 리뷰가 악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을 경험했다. 그렇다고 대충하라는 말은 아니지만 장고 끝에 악수 둔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.
      • 돌이켜보면 프로세스 자체의 개선이 불가능했을까 생각이들지만, 오히려 이렇게 빡빡했기 때문에 사수가 없는 스타트업에서 그나마 코드 퀄리티를 유지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 아니었나 싶다.
      • 현재는 기존 멤버들의 성장 + 훌륭하신 분들의 입사로 리뷰 적체 문제는 상당 부분 해결되었다.
  • 온보딩
    • 온보딩은 ‘신규 입사자니 이 시간 동안 잘 적응하세요'가 아니라 ‘이 시간 안에 자신의 쓸모를 입증하라’는 것에 가깝다고 생각한다. toxic한 생각일지도 모르겠지만, 적어도 나는 그렇게 느꼈다.
      • 다른 회사에가서 다른 경험을 하면 또 달라질지도 모르는 일이다...
    • 런웨이를 계산해나가면서 하루하루 일을 진척시키는 것이 스타트업 때문에 이 사람이 필요한지 아닌지가 상당히 빨리 판가름나는 편이다.

 

2. 개발

컨벤션의 중요성

  •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규칙을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해진다.
    • 특히 css를 우습게 보면 안된다.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정말 걷잡을 수 없어진다.
      • NHN css convention을 참고해서 자체적으로 CSS Convention을 기존 멤버분이 사용하고 계셨는데 천만다행인 일이다.
      • 프로젝트가 커지면서 z-index repository를 만들어 관리하고 있다. 잘못 관리하면 서비스가 복잡해질수록 정말 지옥을 맛볼 수 있다. (vscode 소스 코드를 참고함)
  • 이 모든 것들을 위해서 eslint, stylelint, prettier formatter를 pre-commit 시점에서 git hook을 통해 작동하도록 만들었다.
    • stylelint가 자동으로 내가 설정한대로 (심지어 css-in-js도) fix해주기 때문에 css convention을 수동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되어서 리뷰 시간이 매우 많이 단축되었다.
    • import 순서에 대하여 prettier-plugin-sort-imports를 통해 formatter단에서 해결하는 방법과 eslint-plugin-import를 통해서 lint단에서 해결하는 방법 사이에서 결론적으론 eslint-plugin-import를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다.
    • react-hooks/exhaustive-deps rule은 정말이지 최고다.

 

FE에서의 도메인 주도적인 설계의 필요성

  • 엄격한 DDD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.
  • bizdev팀 ↔ 기획팀 ↔ 개발팀 간의 용어를 통일할 필요성을 느꼈다.
    • 이건 여러 팀과 멤버들이 노력해주어서 어느 정도 통일이 된 상태이다.
    • 특히 서비스 특성상 한 entity가 다른 entity의 역할을 겸임할 수 있어서 말을 하다보면 우리 스스로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았다.
      • ex - 우리가 정의한 ‘Document’가 Document도, Folder도, Resource도 될 수 있는
  • fetching해온 데이터를 model에 맞게 class로 wrapping하고 관련 조작 함수들을 메서드화해서 관리하는 방법론을 멤버분이 제안해주셨는데, 아직 작업이 끝나지 않았지만 복잡했던 비즈니스 로직이 점차 자리를 잡아가는 것 같다.
    • flutter의 방식을 차용한 것인데, 이런 사례만 보아도 다른 영역을 공부해두는 것은 언젠가 도움이 되는 것 같다.

 

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에 대한 추구 필요

  • 번들링
    • 기존 프로젝트에서는 neutrino.js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javascript → typescript 마이그레이션을 위해서 싹 밀어버리고 webpack를 활용해서 바닥부터 다시 빌드했다.
      • 솔직히 ‘작동한다’에 가깝지 ‘잘짰다'는 아닌 것 같다.
    • 이 과정에서 번들러에 대한 공부를 이것저것 살펴보았다. 지금은 없어졌지만 회사에서 browser extension을 만들면서 newTab을 vite.js로 번들했는데 매우 빨라서 놀랐다.
  • 내가 typescript를 알고 있는 것이 맞나
  • FE의 배후에 놓인 기술들이 어쩌면 나의 edge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. javascript가 아닌 타 언어를 활용해서 프론트엔드의 성능이나 DX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매우매우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.
    • Go언어로 만들어진 esbuild를 보면서 FE에 이런 분야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서는 관심이 가게 되었다.
    • Go와 Rust를 배우고 싶다
    • swc와 같은 프로젝트를 보고 내가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는 것을 느꼈다
    • [A6] swc와 웹 개발의 미래
  • 상반기 즈음에 진행할 browser extension 개선 프로젝트를 rollup + 모노레포로 구성해보고 싶다.
  • Web 3.0을 공부해보고 싶다.
    • buildspace 가입만 해놓은 상태
    • buildspace

 

오픈소스를 만들어보다 (⇒ 개밥먹기도 시도해보자)

부끄럽지만 이렇게라도 연습을 해보고있다.

솔직히 메인테인을 할 정도의 프로젝트는 아닌 것 같다.

ko-fuzzy

typed-design-system

 

2022년에는 가능하다면

한국어+영어 조합에서 사용 가능한 client-side 검색 기능 라이브러리를 만들어서 배포해보고 제대로 메인테인을 해보고 싶다. 추가적으로 이렇게 만든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회사 내에도 도입하여 개밥먹기를 해보고 싶기도 하다.

 

개발 문화 조성에 대하여

  • 테크 블로그 개설 및 활성화 시도
    • 처음에는 gatsby로 개발 블로그를 직접 만드려고 했다.
      • 실제로 github action을 통해서 간단한 배포 프로세스도 만들었지만, 지속적으로 블로그의 개발적 퀄리티에 신경을 쓸 리소스가 없다고 판단하였다. 결국에는 미디엄 블로그를 열었다.
    • 블로그는 만들어졌지만 팀원들이 자발적으로 글을 쓰게 만들어야 한다.
      • 현재 회사에선 팀원간 사이가 돈독(?)한 편이라서 알게된 것을 공유하는데 거리낌이 없는 편이다. 공부하기 좋은 자료가 생기면 가장 먼저 올리는 곳이 slack이다.
      • 회사에서 일을 통해 얻게된 지식을 글로 정리하는 것은 개발자 채용에도 도움이 되고 회사의 인지도를 높이는데도 도움이 된다.
      • 글쓰기를 의무로 만드는 것은 의미가 없다. 현재 회사에 적극적으로 어필해서 개발 블로그 작성에 포상금이 주어지도록 만들었다.
      • 그러나 개인 블로그가 아닌 회사의 이름을 달고 쓰는 개발 블로그는 부담감이 심한 편이다. 솔직히 지금까지 글이 딱 1개밖에 없다. 블로그를 만든지 얼마 안 되었으니까 좀 더 지켜보자...

 

자기 PR

  • CV역할을 할 영문 버전의 개인 블로그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
    • 현재 블로그는 신변잡기적인 내용까지 잡다하게 들어가 있다. CV 역할을 할 깔끔한 영문 블로그가 필요
      • 영문 블로그에는 지금처럼 아무 글이나 적지 말고 깊이 있고 핵심적인 글만 올려야 한다. 대표적인 예시로는 아래와 같은 블로그들이 참고해볼만 하다
  • 내가 새롭게 배운 것들을 녹여낸 사이드 프로젝트 개발의 필요성
    • 사실상 github에 있는 다양한 코드들은 내가 알고 있는 것들, 배운 것들과 어느 정도 괴리가 생긴 편이다.
    • 현재 시점으로 보니 과거에 짠 내 코드들이 더럽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많다.

 

etc

  • 주말을 앞두고 배포를 진행하는 것은 좋지 못한 생각이다.

 

3. 비즈니스

  • 회사의 오너로써
    • 작동하는 것 / 쓸 수 있는 것 / 팔 수 있는 것
      • 트위터에서 어떤 분이 말씀하신 분류인데, 정말로 절묘하다고 생각한다. 이 셋 사이의 차이는 정말로 크다.
    • 직원이 불만없이 일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대표의 능력이다
    • 데이터 기반 제품 개발과 의사 결정의 중요성
    • 시장 크기 >>>>>>> 팀 >>>>>>>>>>>>>> 아이디어
      • 학교에서 지속적으로 공부한 내용이지만 체감해보니 그 정도가 다른 것 같다. 정말로 처음의 아이디어 그 자체로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.
    • valuation은 정말로 협상의 영역이다. 같은 지표와 결과를 가지고서도 초기 기업의 valuation은 10배 이상 차이가 날 수도 있다. 정말이다.
  • 회사의 직원으로써
    • 개발팀이 핸들을 잡고 있는 회사로 가야 한다.
      • 핸들을 쥐고 있다면 적극적으로 운전해야할 책임이 있다. 위에서 주는 것만 한다는 입장도 존중하지만 아직은 내 성격이 그걸 받아들이기에 쉽지 않은 것 같다.
      • 특히, 부채 청산 기간은 개발자가 책임지고 얻어내야 한다. 기술 부채가 비즈니스적으로 어떤 결과를 불러올지 제일 잘 알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.
    • FE에 대한 생각이 어떠한가. 단순히 '뷰 찍는 사람' 정도로 생각한다면 실제로도 그 정도 일밖에 안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. 다행히도 지금 회사는 너무 좋은 편.
    • 면접을 통해 해당 회사의 내부 분위기를 파악하라고는 하지만 사실 면접으로는 제대로 알 수가 없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퇴사율은 좋은 회사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듯하다.

darren, dev blog
블로그 이미지 DarrenKwonDev 님의 블로그
VISITOR 오늘 / 전체